영화 ‘바비(Barbie, 2023)’는 인형 바비를 실사화한 작품으로, 단순한 판타지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여성 감독 그레타 거윅(Greta Gerwig)이 연출을 맡으며, 페미니즘적 시선을 영화 전반에 녹여낸 것이 큰 화제가 되었다. 본 글에서는 바비의 줄거리와 함께 어떤 장면에서 페미니즘 요소가 부각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영화에 사용된 주요 OST들과 영화 속 상징성이 어떻게 어우러졌는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 영화가 가진 페미니즘적 시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존재하는 한계점까지 심층적으로 다뤄본다.
페미니즘 시선으로 본 ‘바비’의 줄거리
영화는 바비랜드라는 이상적인 여성 중심 세계에서 시작된다. 이곳은 모든 것이 바비 중심이며, 바비들은 의사, 변호사, 대통령 등 사회의 중심 인물로 활약하고, 켄(Ken)들은 바비의 관심을 끌기 위한 부수적인 존재다. 그러나 어느 날 ‘고민하는 바비’(마고 로비)가 죽음, 셀룰라이트, 불안 등 현실적인 문제들을 자각하게 되면서, 진짜 세상(리얼 월드)으로의 여정을 떠나게 된다. 현실 세계는 바비랜드와 정반대로 남성 중심의 사회이며, 켄은 이 구조에서 새로운 권력을 깨닫고 이를 바비랜드에 적용해 ‘켄도미니엄’이라는 가부장적 사회를 만들려 한다. 이 영화의 핵심은 여성성과 남성성, 사회적 권력의 구조를 풍자하면서 현대 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억압, 불안, 자기 정체성의 혼란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가장 상징적인 장면 중 하나는 바비가 현실 세계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희롱을 당하고, 동시에 켄이 처음으로 ‘존중’을 경험하며 힘을 갖게 되는 부분이다. 이 장면은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위계와 구조적 차별을 선명히 드러내는 대표적인 예다. 또한 바비랜드가 다시 여성 중심의 세계로 회복되는 과정은 단순한 페미니즘 회복이 아니라, 젠더 권력 구조의 균형 회복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OST와 상징성의 조화: 음악이 전하는 메시지
‘바비’에서 사용된 OST는 단순한 배경음악이 아니라, 영화의 주제 의식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OST로는 Billie Eilish의 ‘What Was I Made For?’, Dua Lipa의 ‘Dance The Night’, Nicki Minaj & Ice Spice의 ‘Barbie World’ 등이 있다. Billie Eilish의 곡은 바비의 정체성 혼란과 존재 목적에 대한 고민을 대변한다. “What was I made for?”라는 반복되는 가사는 자신을 단지 누군가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존재로만 여겨왔던 여성들이 느끼는 정체성 혼란과 감정의 깊이를 상징적으로 담고 있다. 이 곡은 바비가 감정이라는 것을 처음 느끼는 장면과 함께 사용되며, 극적 몰입을 더한다. Dua Lipa의 곡은 화려하고 통제된 바비랜드에서의 일상을 보여주는 장면에 삽입되며, 바비들이 겉으로는 자유롭고 행복해 보이지만, 그 내부에는 사회적 규범에 의해 통제받고 있는 현실을 상징한다. Nicki Minaj와 Ice Spice의 ‘Barbie World’는 바비라는 캐릭터가 여성 해방의 상징이자 동시에 소비문화의 산물이라는 이중성을 드러낸다. 또한 영화 내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된 소품과 색감도 중요하다. ‘핑크’는 여성성과 동시에 사회가 강요한 이상적인 여성 이미지의 상징이다. 바비가 현실 세계를 경험하면서 핑크의 환상에서 벗어나 점차 색채가 줄어드는 변화는 자아 인식의 전환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음악은 이러한 상징적 변화와 함께 감정의 흐름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며, 메시지를 정서적으로 각인시킨다.
바비의 한계: 페미니즘 영화로서의 완성도는?
‘바비’는 여성 감독에 의해 연출되고 페미니즘적 메시지를 강조한 영화지만, 완벽한 페미니즘 영화로 보기에는 몇 가지 한계도 존재한다. 첫 번째는 다양성 부족이다. 영화 속 바비들과 켄들은 다양한 인종과 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중심 서사는 여전히 백인 여성(마고 로비)의 관점에 치우쳐 있다. 특히 흑인 바비나 플러스 사이즈 바비는 주변 인물로만 존재하며, 영화의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지 않는다. 두 번째는 젠더 갈등의 단순화이다. 영화는 남성 중심 사회의 문제점을 풍자하고 여성의 자아 찾기를 강조하지만, 켄의 캐릭터를 지나치게 단순하고 희화화된 존재로 묘사함으로써 성평등보다는 대립 구도를 더욱 강화하는 인상을 준다. 이는 실제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의 연대를 통해 구조적 변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페미니즘의 핵심 가치와 다소 어긋난다. 마지막으로는 자본주의적 한계이다. 바비는 결국 매텔(Mattel)이라는 거대 장난감 회사의 상품이며, 이 영화 역시 상품을 다시 브랜드화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즉, 페미니즘을 상업적으로 활용한 셈이다. 영화는 이를 어느 정도 자각적으로 풍자하고 있지만, 진정한 사회적 메시지보다는 소비를 유도하는 엔터테인먼트로 귀결될 위험성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
‘바비’는 단순한 인형 이야기에서 벗어나, 여성의 정체성과 사회적 위상, 젠더 권력 구조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작품이다. 강력한 비주얼, 상징성 있는 OST, 시대정신을 반영한 페미니즘 메시지가 조화를 이루며 큰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다양성과 젠더 관점의 복잡성, 상업적 한계 등에서 아쉬움도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비’는 대중 문화 속 페미니즘을 이끌어낸 중요한 작품으로 기록될 것이다. 여성의 이야기, 그리고 모든 인간의 자아 찾기에 대한 영화가 더 다양하게 등장하길 기대해 본다.